본문 바로가기
금융상품 모음집

LABU ETF에 대한 설명 - 미국 바이오 테크 3배 레버리지 ETF에 대한 모든 것!(미국 생명공학 3배 레버리지 ETF)

by 지렁이씨안녕 2024. 10. 7.

목차

    안녕하세요! 종이의 집입니다. 오늘은 LABU ETF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LABU ETF는 미국 S&P 500 바이오 테크 지수의 일일 수익률 3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로 전환됨에 따라 인간의 수명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질병에 대한 백신을 개발과 수명 연장 등을 위하여 사람의 유전자 DNA를 인위적으로 재조합하거나 생체기능을 모방하여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는 기술인 바이오 테크 즉, 생명 공학기술이 거듭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약을 화학적으로 새롭게 개발하는 것이 한계에 도달하게 되면서, 생명공학을 이용하여 신약을 개발하는 분야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그럼, LABU ETF에 대해 하기 단원에서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상단의 목차에서 원하는 단원을 클릭하시면 해당 단원으로 즉시 이동이 가능합니다.

     

    LABU ETF에 대한 설명 블로그 대표이미지입니다.

     

     

    0. 레버리지에 대한 설명

    ▶ 레버리지 상품이란?

    레버리지란 투자자가 소유한 자본 이상의 자금을 빌려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n배 레버리지 ETF는 기초지수가 하루 동안 1% 상승할 경우 레버리지 상품은 n배 상승하도록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러셀 2000 지수의 주가가 하루 동안 1% 상승하면 TNA ETF는 3배 레버리지 상품이므로 +3% 상승합니다. 그러나 반대로 러셀 2000 지수의 주가가 하루 동안 1% 하락하면 TNA ETF는 -3% 하락합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하루동안"이라는 점입니다. 왜냐하면, 레버리지 ETF는 일단위로 리밸런싱 되어 목표한 레버리지 비율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장기적인 차트를 보면 정확히 2배가 아니라 상승 시와 하락 시 배율의 차이가 2배를 지속적으로 벗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추종지수의 레버리지 비율을 맞추기 위하여 지수 스왑이라는 상품을 거래하게 되는데, 지수 스왑(Index Swap)은 은행들과 주가 지수의 성과에 따른 스왑을 계약하고 현금흐름을 교환하게 되는 일종의 파생상품 거래를 말합니다.

    이때 계약 기간 동안 은행과 거래한 운용사에서 은행에게 "스왑 이자"를 지불합니다.

     

     

    ▶ 레버리지 ETF 주가 이익률이 3배가 아닌 이유[레버리지 ETF의 괴리율 발생 원인]

    주가 하락이 지속될 때에는 음의 복리가 적용되어 일일 추종지수의 3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주가가 지수대비 3배보다 작게 하락하게 됩니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점은 기초 지수의 3배를 추종하는 3배 레버리지 하락 비율이 기초지수 대비 3배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러한 이유는 하루동안 발생된 지수의 수익률의 3배를 추종하며 이로 인해 발생된 음의 복리 때문입니다. 복리는 양의 복리에도 적용되지만 음의 복리에도 적용이 됩니다.

    바로 위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일 차부터 4일 차까지 기초지수는 매일 -10%를 기록하였고, 3배 레버리지는 이에 따라 매일 -30%를 기록하였습니다. 최종 주가를 확인하면 기초지수의 주가는 729이고 3배 레버리지의 주가는 343입니다.

    기초지수의 하락한 값은 1000-729 = 271이고, 3배 레버리지 주가가 하락한 값은 1000-343 = 657입니다. 657 / 271을 계산하면 약 2.4배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기초 지수의 주가로부터 배수를 적용하여 3배 레버지리의 주가를 감산하는 것이 아닌 기초지수의 주가 이익률만 추종하여 3배 레버리지 주가에 적용하여 산출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하락이 중첩될수록 3배 레버리지의 주가는 기초 지수 대비 더 많이 하락하게 되므로, 기초지수대비 3배 레버리지의 주가가 더 작아지게 되어 더 작아진 주가에 하락률을 적용하여 괴리율이 발생하게 됩니다.

     

    주가 상승이 지속될 때에는 양의 복리가 적용되어 일일 추종지수의 3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주가가 지수대비 3배 이상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주가 상승이 지속되어 양의 복리가 적용될 때에는 기초지수 대비 3배 이상 상승하게 됩니다.

    위의 표를 보면 매일 10%씩 증가하는 기초지수에 대한 값을 확인할 수 있는데, 최종 이익률이 기초지수는 33.10%이고, 3배 레버리지는 119.70%입니다. 약 3.6배 차이가 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음의 복리와는 반대로 양의 복리가 적용되어 기초 지수의 주가 대비 3배 레버리지의 주가가 더 많이 상승하게 되므로, 기초지수 대비 3배 레버리지의 주가가 더 증가하게 되어 더 커진 주가에 상승률을 적용하여 괴리율이 발생하게 됩니다.

     

     

    ▶ 주가가 횡보할 경우 레버리지 상품 투자 시 위험성

     

    기초지수가 횡보할 경우 발생하는 변동성 끌림 현상 입니다. 회색의 기초지수는 제자리를 맴돌고 있지만 노락색의 레버리지 상품은 처음대비 지속적인 하락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 위의 차트를 보시면 기초 지수를 나타내는 회색 차트는 제자리를 횡보하고 있어서 결국 원래 가격으로 회귀했지만, 기초 지수의 레버리지를 나타내는 노란색 차트는 점점 하락한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기초 지수가 횡보할 경우 기초지수의 레버리지 수익률이 점점 하락하는 이유는 "변동성 끌림 현상(Volatility Drag)"이라는 것 때문입니다.

    여기서 "변동성 끌림 현상"이란 레버리지 ETF나 ETN과 같은 파생상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래 목표했던 수익률과 실제 수익률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와 같은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레버리지 상품이 일일 수익률을 추종하는 데 사용하는 파생상품(선물계약, 스왑 등)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파생상품은 은행이 결과적으로 금액을 보증해 주는 계약이므로 기준금리에 추가된 가산금리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발생된 이자 비용을 기존 상품의 주가에 반영하여 차감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개인 투자자들이 알아차리기 어렵습니다.

    여기에 일일 수익률을 n배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의 특성상 양의 복리와 음의 복리로 인하여 괴리율의 발현이 가속화되게 됩니다.

     

     

    1. LABU ETF 란 무엇인가?

    • 종목명 : Direxion Daily S&P Biotech Bull 3X Shares
    • 추종지수 : S&P Biotechnology Select Industry Index
    • 상장일 : 2015년 5월 28일
    • 1주당 가격 : $176.99
    • 배당수익률 : 연 0.40%
    • 운용보수 : 연 1.04%
    • 운용사 : Direxion
    • 시가총액 : 1.2조 원
    • 일평균 거래금액 : 2,092억 원
    • 베타 : 2.62
    • 투자종목 : 147개

     

    LABU ETF의 투자 종목 선정기준

    • S&P 바이오테크 지수(헬스케어, 바이오 섹터)의 일일 수익률 3배를 추종합니다.
    • 포트폴리오를 매일 재조정합니다.

     

     

    2. LABU ETF의 주가 차트 및 근황

    LABU ETF의 상장일인 2015년 5월 28일부터 2024년 10월 7일까지의 주가 차트 현황입니다.
    LABU ETF의 상장일인 2015년 5월 28일부터 2024년 10월 7일까지의 주가 차트 현황입니다.

    LABU ETF의 상장일인 2015년 5월 28일부터 2024년 10월 7일까지의 주가 차트 현황입니다. 상장가 대비 -96.24% 하락하였습니다.

    LABU ETF(Direxion Daily S&P Biotech Bull 3X Shares)는 미국 바이오테크 산업을 대표하는 S&P Biotechnology Select Industry Index를 추종하면서 3배 레버리지를 활용한 ETF입니다. LABU는 극도로 높은 변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바이오테크 섹터의 주가 변동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최근 몇 년간의 주가 흐름을 보면, 2020년 팬데믹 초기에는 바이오테크 산업에 대한 높은 기대와 함께 급격한 상승을 보였으나, 이후 금리 인상과 거시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2021년 후반부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2024년 들어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과 바이오테크 산업의 연구개발 지출, 그리고 FDA 승인의 불확실성 등 여러 요인이 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LABU는 기본적으로 3배 레버리지 ETF이기 때문에, 기초 지수의 작은 변동에도 큰 주가 변화가 발생하며, 2024년 중반까지 주가는 변동성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LABU ETF는 미국 경제 상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특히, 현재 미국 경제의 금리 상승과 인플레이션 환경은 바이오테크 산업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바이오테크 기업들은 대규모 자본 지출이 필요한 R&D(연구개발)에 의존하고 있는데, 금리가 상승하면 이러한 자본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투자 유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상으로 인해 성장주에 대한 매력이 감소하면서, LABU가 속한 바이오테크 섹터 역시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바이오테크 산업 자체가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R&D와 FDA 승인 절차 등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경제 불안정성이나 거시경제적 요인에 더욱 민감합니다. 최근 미국의 경제 불안정성 및 중국과의 무역 긴장 등도 바이오테크 분야에 위험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바이오테크 산업은 미국 경제 현황과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러한 경제적 요인은 LABU ETF의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3. LABU ETF의 포트폴리오 비중

    3-1. S&P 바이오테크 섹터 지수 포트폴리오 비중(LABU 추종 지수)

    LABU ETF의 추종 지수 보유종목 Top 10 현황입니다.
    LABU ETF의 추종 지수 보유종목 Top 10 현황입니다.

    LABU ETF의 추종 지수의 보유종목 상위 10개는 다음과 같습니다.(상위 10 종목 비중 : 28.4%)

    • 사렙타 테라퓨릭스[SRPT]: 3.32%
    • 유나이티드 테라퓨틱스[UTHR]: 2.98%
    • 앨라일람 파마슈티컬스[ALNY]: 2.87%
    • 길리어드 사이언시스[GILD]: 2.85%
    • 암젠[AMGN]: 2.82%
    • 애브비[ABBV]: 2.74%
    • 리제네론[REGN]: 2.74%
    • 이그젝트 사이언스[EXAS]: 2.72%
    • 바이오젠[BIIB]: 2.70%
    • 바이오마린 제약[BMRN]: 2.66%

     

     

    3-2. LABU ETF 포트폴리오 보유 종목 Top 10

    StockTicker SecurityDescription HoldingsPercent
    - S&P BIOTECHNOLOGY SELECT INDUSTRY INDEX SWAP 49.60%
    - S&P BIOTECHNOLOGY SELECT INDUSTRY INDEX SWAP 39.03%
    - S&P BIOTECHNOLOGY SELECT INDUSTRY INDEX SWAP 32.58%
    - S&P BIOTECHNOLOGY SELECT INDUSTRY INDEX SWAP 32.45%
    - S&P BIOTECHNOLOGY SELECT INDUSTRY INDEX SWAP 31.09%
    - S&P BIOTECHNOLOGY SELECT INDUSTRY INDEX SWAP 22.41%
    - S&P BIOTECHNOLOGY SELECT INDUSTRY INDEX SWAP 22.35%
    - DREYFUS GOVT CASH MAN INS 18.50%
    - GOLDMAN FINL SQ TRSRY INST 506 6.88%
    - DREYFUS TRSRY SECURITIES CASH MGMT 3.06%

    LABU ETF의 보유종목 상위 10개는 다음과 같습니다.(상위 10 종목 비중 : 257.95%)

    • S&P 바이오테크놀로지 섹터 인덱스 스왑: 49.60%
    • S&P 바이오테크놀로지 섹터 인덱스 스왑: 39.03%
    • S&P 바이오테크놀로지 섹터 인덱스 스왑: 32.58%
    • S&P 바이오테크놀로지 섹터 인덱스 스왑: 32.45%
    • S&P 바이오테크놀로지 섹터 인덱스 스왑: 31.09%
    • S&P 바이오테크놀로지 섹터 인덱스 스왑: 22.41%
    • S&P 바이오테크놀로지 섹터 인덱스 스왑: 22.35%
    • DREYFUS GOVT CASH MAN INS: 18.50%
    • 골드만삭스 SQ TRSRY INST 506: 6.88%
    • DREYFUS TRSRY SECURITIES CASH MGMT: 3.06%

    위와 같이 운용사와 은행들이 지수 스왑 거래를 함으로써 S&P 바이오테크놀로지 섹터 지수의 일일 수익률 3배를 추종합니다. 여기서 지수 스왑이란 은행들과 주가 지수의 성과에 따른 스왑을 계약하고 현금흐름을 교환하게 되는 일종의 파생상품 거래를 말합니다.

    LABU의 전체 보유 종목은 하기 첨부파일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LABU.csv
    0.01MB

     

     

     

    4. LABU ETF의 연도별 수익률

    LABU ETF의 연도별 수익률 현황입니다.
    LABU ETF의 연도별 수익률 현황입니다.

    연도 수익률
    2015 -46.12%
    2016 -57.95%
    2017 163.36%
    2018 -60.75%
    2019 68.72%
    2020 77.91%
    2021 -64.13%
    2022 -82.98%
    2023 -5.66%
    2024 2.65%

     

    LABU ETF는 상장 이후 연평균 약 -29.10% 하락하였습니다. 위의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연도별 수익률도 수익을 얻을 때보다 손실을 얻은 때가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레버리지 ETF의 특성상 기초지수의 주가하락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횡보 시에도 가장 첫 번째 단원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변동성 끌림 현상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수익을 갉아먹기 때문입니다. 또한, 운용보수도 시장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펀드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5. LABU ETF의 장점 및 단점

    5-1. 장점

    • 높은 수익 잠재력
      LABU는 3배 레버리지 ETF이기 때문에, 기초 지수가 상승할 경우 단기적으로 매우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바이오테크 산업의 특정 이벤트, 예를 들어 주요 신약 승인이나 혁신적 기술 발표가 있을 경우 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산업의 성장성
      바이오테크 섹터는 장기적으로 보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중 하나로, 특히 고령화 사회, 만성 질환 증가, 생명공학 기술 발전 등에 힘입어 발전 잠재력이 큽니다. 이러한 산업 특성을 고려했을 때, LABU는 장기적인 바이오테크 혁신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투자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변동성 활용
      투자자에게 있어 바이오테크 섹터의 높은 변동성은 위험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이를 활용해 단기 트레이딩을 할 경우 높은 수익을 올릴 기회도 됩니다. LABU와 같은 레버리지 ETF는 이러한 변동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5-2. 단점

    • 높은 변동성 및 위험
      3배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ETF이기 때문에, 작은 주가 변동도 LABU에서는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테크 섹터는 FDA 승인 지연, 신약 개발 실패 등 예측 불가능한 사건들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위험이 매우 큽니다. 레버리지 효과는 수익뿐만 아니라 손실도 3배로 확대하기 때문에, 투자자의 리스크 관리 능력이 요구됩니다.


    • 장기 투자에는 부적합
      LABU와 같은 레버리지 ETF는 일일 수익률을 추적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시장 노출 시 원래 의도한 수익률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른바 "변동성 드래그"(volatility drag) 현상으로, 변동성이 클수록 레버리지 ETF의 장기 성과는 기초 자산의 실제 성과보다 낮을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LABU는 장기 보유보다는 단기 트레이딩에 적합합니다.


    • 높은 비용 구조
      LABU는 레버리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자산을 재조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이 높습니다. 또한 ETF 자체의 운용 비용(경비율)이 일반 ETF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장기적으로 투자할 경우 비용이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6. LABU ETF의 MDD(고점 대비 최대 낙폭) 순위

    LABU ETF의 2016년 1월부터 2024년 8월 31일까지 MDD 현황입니다.
    LABU ETF의 2016년 1월부터 2024년 8월 31일까지 MDD 현황입니다.

    전고점 대비 크게 하락한 순서대로 날짜, 기간, 하락률, 전고점 회복까지의 기간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MDD가 -30% 이상 하락한 것들만 정리하였습니다.

    • 2021년 2월 ~ 2023년 10월까지 2년 9개월 동안 지속되고 있으며, -97.84% 하락하였습니다. 또한, 2024년 10월 7일 현재까지도 전고점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 2018년 9월 ~ 2020년 3월까지 1년 7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78.84% 하락하였습니다. 2021년 1월(약 10개월 소요)에 전고점을 회복하였습니다.(총 기간 2년 5개월)
    • 2016년 1월 ~ 2016년 2월까지 2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72.13% 하락하였습니다. 2017년 9월(약 1년 7개월 소요)에 전고점을 회복하였습니다.(총 기간 1년 9개월)

     

     

    7. XBI vs LABU vs SPY ETF의 투자 수익률 비교

    XBI ETF, LABU ETF, SPY ETF를 2016년부터 2024년 8월까지 거치식으로 투자하였을 때의 수익률 현황입니다.
    XBI ETF, LABU ETF, SPY ETF를 2016년부터 2024년 8월까지 거치식으로 투자하였을 때의 수익률 현황입니다.
    위의 차트를 수치로 표현한 표입니다.
    위의 차트를 수치로 표현한 표입니다.

    2016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약 9년간 XBI ETF, LABU ETF, SPY ETF에 각각 $10,000를 거치식으로 투자하였을 때의 수익률 현황입니다.

    위의 차트에서 SPDR S&P Biotech ETF는 XBI ETF, Direxion S&P Biotech Bull 3X ETF는 LABU ETF, SPDR S&P 500 ETF Trust는 SPY ETF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XBI는 S&P 바이오 테크 지수를 추종하는 ETF, LABU는 S&P 바이오 테크 지수 3배를 추종하는 ETF, SPY는 미국 대형주 상위 500개에 투자하는 S&P 500 지수 추종 ETF입니다.

    수익률 순위는 SPY > XBI > LABU 순이며, MDD 순위는 LABU > XBI > SPY 순입니다. 레버리지 비율을 낮을수록 수익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완벽히 레버리지의 비율대로 레버리지 ETF 상품의 수익률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가장 첫 번째 단원에서 설명한 대로 레버리지 ETF 상품은 일일 수익률의 지정한 배율대로 주가 수익을 추종하기 때문입니다.

    LABU ETF는 3배 레버리지 특성을 가진 바이오테크 섹터에 집중된 ETF로, 단기적으로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크고, 특히 바이오테크 산업 특유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더해지면서 장기 투자에는 부적합할 수 있습니다.


    미국 경제 상황, 특히 금리와 인플레이션, 바이오테크 연구개발의 자금 조달 여건 등이 향후 LABU의 성과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따라서 LABU에 투자하려는 경우, 단기적인 수익 기회를 노리며 변동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능동적인 투자 전략이 필요하며, 장기 보유를 목표로 하는 경우보다 신중한 리스크 관리가 요구됩니다.

     

     

    8. LABU ETF의 연도별 배당 수익률 현황

    2015년 5월 28일부터 2024년 10월 7일까지 LABU ETF의 연도별 배당 지급 현황입니다.
    2015년 5월 28일부터 2024년 10월 7일까지 LABU ETF의 연도별 배당 지급 현황입니다.

    연도 배당금 배당률
    2017 $2.65 3.65%
    2018 $4.22 8.79%
    2019 $3.28 5.99%
    2023 $0.42 3.67%
    2024 $0.31 0.25%

     

    LABU ETF의 상장일인 2015년 5월 28일부터 2024년 10월 7일까지 LABU ETF의 연도별 배당 지급 현황입니다.

    배당금 지급 이력을 보면 2015년, 2016년, 2020년, 2021년, 2022년이 배당 누락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당률을 보면 들쭉날쭉하여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하기 위해서 투자하기에도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당금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좋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9. LABU와 같이 보면 좋은 ETF

    9-1. XLV - 미국 헬스케어 섹터 ETF

    XLV ETF에 대한 설명 및 비교 분석 - 고령화 시대를 완벽하게 대비하는 미국 헬스케어 기업을 한 번에!

     

    XLV ETF에 대한 설명 및 비교 분석 - 고령화 시대를 완벽하게 대비하는 미국 헬스케어 기업을 한 번

    목차 안녕하세요! 종이의 집입니다. 오늘은 미국 헬스케어 기업을 대표하는 ETF인 XLV ETF에 대한 설명과 미국 3대 시장 지수중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 ETF와 NASDAQ 100 지수를 추종하는 QQQ ETF와 비

    paper-castle.tistory.com

     

    9-2. SPLG - 미국 대형주 Top 500 ETF[S&P 500]

    SPLG ETF에 대한 설명 - 미국 S&P 500 지수 추종 ETF[SPY vs SPLG]

     

    SPLG ETF에 대한 설명 - 미국 S&P 500 지수 추종 ETF[SPY vs SPLG]

    안녕하세요! 종이의 집입니다. 오늘은 미국 S&P 500 지수 추종 ETF인 SPLG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SPLG ETF는 미국 대표 3대 지수 중 미국 대형주 Top 500개를 묶어서 지수화시킨 S&P 500 지수

    paper-castle.tistory.com

     

    9-3. QQQM - 미국 벤처기업 Top 100 ETF[나스닥 100]

    QQQM ETF에 대한 설명 - 미국 나스닥 100 지수 추종 ETF [QQQ vs QQQM]

     

    QQQM ETF에 대한 설명 - 미국 나스닥 100 지수 추종 ETF [QQQ vs QQQM]

    안녕하세요! 종이의 집입니다. 오늘은 QQQM ETF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QQQM ETF는 미국 벤처기업들이 상장된 나스닥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위 100개 기업을 지수화한 나스닥 100 지수를

    paper-castl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