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상품 모음집

TIP ETF에 대한 설명 - 미국 중기 물가연동채권 ETF에 대한 모든 것!(feat. 인플레이션 방어)

by 지렁이씨안녕 2024. 10. 15.

목차

    안녕하세요! 종이의 집입니다. 오늘은 TIP ETF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TIP ETF는 3년~10년 만기 미국 물가 연동 채권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물가연동채권을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채권의 이율을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인 CPI과 연동하여 채권 쿠폰이자율이 변동되는 채권을 말합니다.

    따라서, TIP ETF는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라서 이자율이 변동되는 채권에 투자하므로 개인투자자들에게 인플레이션 방어 수단을 제공합니다.

     

    그럼, TIP ETF에 대해 하기 단원에서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상단의 목차에서 원하는 단원을 클릭하시면 해당 단원으로 즉시 이동이 가능합니다.

     

    TIP ETF에 대한 설명 블로그 대표이미지 입니다.

     

     

    0. 채권에 대한 설명

    ■ 채권 이란?

      채권은 기업이나 정부가 자금을 조달할 때 발행하는 금융상품 중 하나입니다. 채권은 채무를 지는 측(채무자)이 채권을 취득한 측(채권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에는 원금을 상환한다는 약속을 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이자율은 일반적으로 채권 가격, 만기, 발행자 신용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채권은 회사채, 국채, 지방채 등으로 나뉩니다. TMF ETF는 미국 장기 국채에 투자하기 때문에 국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국채는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국가의 재정 운용을 위해 발행됩니다. 국채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투자 수단으로 간주되며, 국가의 신용등급에 따라 이자율이 결정됩니다.

      미국은 금융 시장 점유율이 50%에 육박하며 전 세계 1위입니다. 또한, 미국의 통화인 달러가 전 세계의 기축통화이므로 채무 불이행을 걱정할 필요가 다른 나라에 비해서 현저하게 적습니다. 왜냐하면 정부에서 돈을 찍어내면 그만이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도 진행 중이며, 미래에도 그럴 것이 확실합니다. 이것은 금 가격 추이를 보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금 가격을 추종하는 ETF인 GLD ETF의 상장이후 주가 추이입니다.
    1959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미국 통화공급량 M2 차트 현황입니다.
    1959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미국 통화공급량 M2 차트 현황입니다.

      위의 차트처럼 금가격을 추종하는 GLD ETF의 주가 추이가 상장 이후 지속적인 우상향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금은 실물 자산입니다. 달러의 가치가 그대로라면 금가격은 변동이 없어야 하지만, 달러를 정부에서 매년 찍어내므로 달러가 점점 불어나서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므로 금의 가격이 점점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2번째 이미지의 미국 통화공급량 M2 차트를 통해서 1959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시중에 공급된 달러의 양을 확인하였을 때 지속적으로 우상항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달러의 통화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채권의 특성은 주식과 달리 이자를 통해 수익을 얻으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채권도 발행자의 신용위험, 이자율 변동 등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 채권의 종류

    • 회사채 (Corporate Bonds)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으로,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에 원금을 상환합니다. 회사채의 이자율은 발행기업의 신용 등급에 따라 결정됩니다.

    • 국채 (Government Bonds)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국채라고도 불립니다. 정부는 국가 운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정부채를 발행하며, 안정적이고 신용 위험이 낮은 투자 수단으로 여겨집니다.

    • 국공채[단기국채] (Treasury Bills)단기 국채로, 일정 기간 후에 원금을 상환하는데 이자를 지급하지 않습니다. 대신 발행가액과 만기가격의 차이로 이익을 얻게 됩니다.

    • 지방채 (Municipal Bonds): 지방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지방 정부의 공공사업을 위한 자금 조달에 사용됩니다.

    • 전환사채 (Convertible Bonds): 회사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소액주주들에게 보통주로의 전환이나 채권상환의 우선권 등을 부여하는 등의 혜택이 있습니다.

    • 무담보 채권 (Unsecured Bonds): 채권 발행 기업이 담보를 제공하지 않고 발행하는 채권으로, 발행 기업의 일반 신용력에 따라 이자율이 결정됩니다.

    • 담보부 채권 (Secured Bonds): 채권 발행 기업이 채권 취득자에게 담보물을 제공하여 발행하는 채권으로, 담보물의 가치에 따라 이자율이 결정됩니다.

    • 무이자부 채권 (Zero Coupon Bonds)이자를 지급하지 않고 원금을 상환하는 채권으로, 발행할 때부터 할인된 가격으로 발행되며 만기에 원금을 받게 됩니다.

    • 선순위 채권 (Senior Bonds): 기업이 파산할 경우 다른 채권자보다 먼저 상환받을 수 있는 우선권을 가진 채권입니다.

    • 물가연동채권(Treasuty Inflation Protected Securities [TIPS]): 채권의 이자나 원금을 물가 상승률에 따라 조절되는 특징을 가진 채권입니다. 이러한 채권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는 국가에서 발행됩니다. 주로 정부나 정부 기관이 발행하며, 투자자를 인플레이션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물가 상승에 따른 이자 및 원금의 가치 감소를 상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이자 물가연동채권(Inflation-Linked Bonds): 이러한 채권은 지급액이 물가 상승률에 따라 조절됩니다. 보통은 특정 지수(소비자물가지수 등)를 기준으로 하여 정해진 비율에 따라 이자가 조정됩니다. 예를 들어, 만약 연간 물가 상승률이 3%라면, 물가연동채권의 이자 지급액도 3%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원금 물가연동채권(Principal-Protected Inflation-Linked Bonds): 이러한 채권은 원금이 물가 상승률에 따라 조정됩니다. 만기에 투자자는 원금을 조정된 가치로 상환받게 됩니다. 이러한 형태의 채권은 주로 원금을 보호하면서도 물가 상승에 따른 이익을 누리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 만기별 국채의 구분 방법

    장기 국채, 중기 국채, 단기 국채, 초단기 국채는 국채 발행의 기간에 따른 채권의 만기 기간에 따라 구분됩니다.

    • 장기 국채(Long-term treasury Bonds)
      만기가 
      10년 이상의 국채입니다. 미국 장기 국채 ETF는 TLT ETF가 있습니다.


    • 중기 국채(Intermediate-term treasury Bonds)
      만기가 5~10년 사이
      의 국채입니다. 미국 중기 국채 ETF는 IEF ETF가 있습니다.


    • 단기 국채(Short-term treasury Bonds)
      만기가 1~5년 사이
      의 국채입니다. 미국 단기 국채 ETF는 SHY ETF가 있습니다.


    • 초단기 국채(Tresaury Bills)[T-Bills]
      만기가 1년 미만의 초 저 위험 단기국채입니다. 초단기 국채 ETF는 대표적으로 BIL ETF가 있습니다.

     

     

    ■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 간의 관계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입니다.

    • 채권의 가격과 금리는 일반적으로 반비례 관계를 가집니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 가격은 상승합니다. 위의 그래프에서도 보면 이자율 부분은 A%가 B%보다 더 높고, A% 일 때의 채권가격보다 B% 일 때의 채권 가격이 더 높습니다.

    • 채권은 만기 시까지 지급되는 금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채권 발행 시, 발행가액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이자 지급을 약속받게 됩니다. 하지만 시장 금리가 채권의 이율보다 높다면, 신규로 발행되는 채권에 비해 기존에 발행된 채권의 이자 수익이 적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채권은 가치가 하락합니다. 왜냐하면 미래의 현금 흐름인 이자가 현재의 가치로 환산될 때, 더 낮은 금리를 기반으로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 기준 금리의 변동도 채권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기준 금리가 상승하면 새로운 채권이 높은 이율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 채권의 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반대로, 기준 금리가 하락하면 기존 채권의 이자율이 높아 보이기 때문에 기존 채권의 가치가 상승합니다.

    • 채권은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기준 금리(시장 금리)의 변동이 채권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작아집니다. 왜냐하면 채권은 만기 시까지 지급되는 이자가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만기가 긴 채권일수록 금리 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단기 국채의 가격 변동은 작지만 만기가 20년 이상으로 긴 장기 국채의 경우 이자율도 단기 국채보다 높은 대신에 변동성도 더욱 높습니다.

     

     

    1. TIP ETF 란 무엇인가?

    • 종목명 : iShares TIPS Bond ETF
    • 추종지수 : ICE US Treasury Inflation Linked Bond Index (USD)
    • 상장일 : 2003년 12월 5일
    • 1주당 가격 : $111.06
    • 배당수익률 : 연 2.70%
    • 운용보수 : 연 0.19%
    • 운용사 : iShares
    • 시가총액 : 24.8조 원
    • 일평균 거래금액 : 2,368억 원
    • 베타 : 0.80
    • 투자종목 : 51개

     

    TIP ETF의 투자 종목 선정기준

    • 미국 정부에서 발행한 물가연동채권(Treasury Inflation Protected Securities: TIPS)에 투자합니다. 이자금리는 소비자물가지수와 연동되어 물가상승 시 이자금리도 함께 상승합니다.

     

     

    2. TIP ETF의 주가 차트 및 근황

    TIP ETF의 상장일인 2003년 12월 5일부터 2024년 10월 15일까지의 주가 차트 현황입니다.
    TIP ETF의 상장일인 2003년 12월 5일부터 2024년 10월 15일까지의 주가 차트 현황입니다.
    1971년 8월 4일부터 2024년 9월 18일까지 미국 기준금리 추이 차트입니다.
    1971년 8월 4일부터 2024년 9월 18일까지 미국 기준금리 추이 차트입니다.

      TIP ETF의 상장일인 2003년 12월 5일부터 2024년 10월 15일까지의 주가 차트 현황입니다. 상장가 대비 7.38% 상승했습니다.

      TIP ETF는 주로 미국 재무부가 발행한 물가연동국채(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 TIPS)에 투자하는 ETF로, 투자자들에게 인플레이션 방어 수단을 제공합니다. 2023년과 2024년 초반에 TIP ETF의 주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통화 정책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았습니다. 높은 금리 환경은 전통적인 채권의 매력을 감소시키고, 물가 연동 국채의 상대적 이점을 제한했습니다.


      2022년부터 2023년 초까지 TIP ETF는 큰 하락세를 겪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금리 인상이 겹친 상황에서 장기 금리가 상승하며 TIPS 가격이 하락한 데 기인합니다.

      2023년 하반기부터는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면서 TIP ETF의 가격 변동성이 다소 안정되었습니다. 다만,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가격이 큰 폭으로 반등하지는 못했습니다.

      2024년 현재 TIP ETF는 약세장에서 소폭 반등했지만, 금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단기적인 큰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현재 가격은 52주 고점 대비 약 10~15%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금리 리스크가 여전히 반영된 결과입니다.

      TIP ETF는 미국 경제의 인플레이션 동향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미국 경제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경기 회복, 공급망 문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TIPS 채권의 명목가치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TIP ETF의 성과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변화함에 따라 TIP ETF의 매력도도 변화합니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는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되었고, 인플레이션이 정점에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TIP ETF 수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더라도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입니다.

      2024년 초반부터는 물가 상승률이 점차 안정화되며 Fed의 금리 인상 속도도 조정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TIP ETF의 매력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지만, 아직 금리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당장의 성과 개선이 어렵습니다.

      TIP ETF는 인플레이션이 재차 상승할 가능성이 있거나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투자자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그러나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접어들거나 금리 인하가 예상될 경우 전통적인 국채나 다른 채권형 ETF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3. TIP ETF의 포트폴리오 비중

    3-1. TIP ETF 섹터 비중

    2024년 10월 11일 기준 TIP ETF의 섹터별 비중 현황입니다.
    2024년 10월 11일 기준 TIP ETF의 섹터별 비중 현황입니다.

    TIP ETF의 섹터별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 채권: 100%

     

    3-2. TIP ETF 보유종목 비중 Top 10

    Name Sector Weight (%) Duration YTM (%) Maturity Coupon (%)
    TREASURY (CPI) NOTE Treasuries 3.78 8.38 4.08 15-Jan-34 1.75
    TREASURY (CPI) NOTE Treasuries 3.7 7.41 3.98 15-Jul-32 0.63
    TREASURY (CPI) NOTE Treasuries 3.67 7.72 4.02 15-Jan-33 1.13
    TREASURY (CPI) NOTE Treasuries 3.47 4.2 3.93 15-Apr-29 2.13
    TREASURY (CPI) NOTE Treasuries 3.46 3.73 3.93 15-Oct-28 2.38
    TREASURY (CPI) NOTE Treasuries 3.44 1.22 3.84 15-Jan-26 0.63
    TREASURY (CPI) NOTE Treasuries 3.31 7.08 3.94 15-Jan-32 0.13
    TREASURY (CPI) NOTE Treasuries 3.31 2.86 3.88 15-Oct-27 1.63
    TREASURY (CPI) NOTE Treasuries 3.27 3.36 3.93 15-Apr-28 1.25
    TREASURY (CPI) NOTE Treasuries 3.22 8.08 4.05 15-Jul-33 1.38

    TIP ETF의 보유종목 상위 10개는 다음과 같습니다.(상위 10 종목 비중 : 31.32%)

    • 2034년 1월 15일 만기 물가연동채권[이자: 1.75%]: 3.78%
    • 2032년 1월 15일 만기 물가연동채권[이자: 0.63%]: 3.7%
    • 2033년 1월 15일 만기 물가연동채권[이자: 1.13%]: 3.67%
    • 2029년 4월 15일 만기 물가연동채권[이자: 2.13%]: 3.47%
    • 2028년 10월 15일 만기 물가연동채권[이자: 2.38%]: 3.46%
    • 2026년 1월 15일 만기 물가연동채권[이자: 0.63%]: 3.44%
    • 2032년 1월 15일 만기 물가연동채권[이자: 0.13%]: 3.31%
    • 2027년 10월 15일 만기 물가연동채권[이자: 1.63%]: 3.31%
    • 2028년 4월 15일 만기 물가연동채권[이자: 1.25%]: 3.27%
    • 2033년 7월 15일 만기 물가연동채권[이자: 1.38%]: 3.22%

     

    TIP ETF의 모든 보유종목을 확인하시고 분들은 아래 CSV 파일을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IP_holdings.csv
    0.02MB

     

     

     

    4. TIP ETF의 연도별 수익률

    TIP ETF의 연도별 수익률 현황입니다.
    TIP ETF의 연도별 수익률 현황입니다.

    연도 수익률
    2003 -0.02%
    2004 8.52%
    2005 2.74%
    2006 0.50%
    2007 11.44%
    2008 -1.31%
    2009 11.01%
    2010 5.86%
    2011 13.73%
    2012 6.43%
    2013 -8.44%
    2014 3.25%
    2015 -2.38%
    2016 4.37%
    2017 2.57%
    2018 -1.18%
    2019 8.18%
    2020 10.30%
    2021 5.56%
    2022 -11.44%
    2023 3.29%
    2024 4.07%

      TIP ETF는 상장 이후 연평균 약 3.50% 상승하였습니다.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조정하는 기준이 물가 상승률이 2.0%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기준금리를 조절하는 것을 보면, 물가연동채권답게 장기적으로 물가 상승률을 상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IP ETF의 전망은 인플레이션과 금리의 향후 추이에 크게 의존합니다. 2024년 이후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높아질 경우 TIP ETF는 상승할 가능성이 있지만, Fed가 지속적으로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인플레이션이 둔화될 경우 수익률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보면 Fed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고금리 정책을 유지하는 동안 TIP ETF는 하방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인플레이션이 재차 상승할 가능성이나 경제 불확실성 확대 시 TIP ETF는 안정적인 수익원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 내의 인플레이션 헷지 자산으로 TIP ETF를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길어지거나 구조적으로 자리 잡을 경우 더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 될 것입니다.

     

     

    5. TIP ETF의 장점 및 단점

    5-1. 장점

    • 인플레이션 헷지
      TIP ETF는 물가 상승에 따른 구매력 감소를 방어할 수 있는 주요 수단입니다. TIPS는 물가에 연동해 원금이 조정되므로, 인플레이션이 높아질 때 그에 따라 채권의 가치도 상승하여 투자자가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습니다.

    • 안정적인 수익원
      TIPS는 미국 정부가 발행한 채권이기 때문에 신용 위험이 매우 낮습니다. 이는 TIP ETF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불확실성이 높은 경제 환경에서 투자자들은 안전 자산을 선호하기 때문에 TIP ETF의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물가 연동 원금 조정
      TIPS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원금이 물가 상승에 따라 조정된다는 점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경우 TIP ETF가 일반 채권 ETF보다 더 유리한 수익을 제공할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 다양한 포트폴리오 전략에 적합
      TIP ETF는 인플레이션 방어를 목적으로 한 투자 전략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제 주기에 대응하는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구성에 유리합니다. 금리가 하락하거나 물가 상승이 예상될 때 TIP ETF는 유효한 방어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 세금 혜택 가능성
      TIP ETF에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원금 상승 부분은 이자 소득으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일부 세금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는 고소득자나 세금을 최소화하려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5-2. 단점

    • 금리 상승 리스크
      TIP ETF는 금리 상승기에 가격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원금이 증가하더라도 금리 상승으로 인한 채권 가격 하락은 이를 상쇄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같은 금리 인상 기조가 유지될 경우 TIP ETF의 성과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낮은 인플레이션기에는 성과 저조
      인플레이션이 낮거나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TIP ETF의 수익률이 낮아지거나 심지어 원금 조정이 역전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시기에는 전통적인 고정금리 채권이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 복잡한 구조
      TIPS 채권의 구조는 일반 투자자에게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 물가 연동 채권의 원금과 이자율이 어떻게 조정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TIP ETF의 수익률을 정확히 예측하거나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세금 이슈
      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금 증가 부분도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어, 투자자가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 세금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물가 상승률이 높을 때 세금이 채권에서 발생하는 이자보다 더 클 수 있습니다.

    •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
      TIP ETF는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반면, 다른 자산군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을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주식 시장이 활황을 보일 때 TIP ETF는 기회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TIP ETF의 MDD(고점 대비 최대 낙폭) 순위

    2015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약 10년동안 ETF의 MDD 차트 현황입니다.
    2015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약 10년동안 ETF의 MDD 차트 현황입니다.

      전고점 대비 크게 하락한 순서대로 날짜, 기간, 하락률, 전고점 회복까지의 기간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MDD가 -10% 이상 하락한 것들만 정리하였습니다.

    • 2022년 1월 ~ 2022년 9월까지 9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13.90% 하락하였습니다. 2024년 10월 15일 현재까지 전고점 회복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7. VTIP vs TIP vs LTPZ ETF 물가연동채권 만기별 ETF 수익률 비교

    VTIP ETF vs TIP ETF vs LTPZ ETF를 2015년 1월부터 2024년 8월 31일까지 약 10년간 $10,000를 거치식으로 투자하였을 때의 수익률 현황입니다.
    VTIP ETF vs TIP ETF vs LTPZ ETF를 2015년 1월부터 2024년 8월 31일까지 약 10년간 $10,000를 거치식으로 투자하였을 때의 수익률 현황입니다.
    위의 차트를 수치로 표현한 표입니다.
    위의 차트를 수치로 표현한 표입니다.

      2015년 1월부터 2024년 8월 31일까지 약 10년간 VTIP ETF, TIP ETF, LTPZ ETF에 각각 $10,000를 거치식으로 투자하였을 때의 수익률 현황입니다.

      위의 차트에서 Vanguard Short-Term Infl-Prot Secs ETF는 VTIP ETF, iShares TIPS Bond ETF는 TIP ETF, PIMCO 15+ Year US TIP ETF는 LTPZ ETF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VTIP는 미국 재무부에서 발행한 만기 5년 미만의 단기 물가연동채권에 투자하는 ETF이고, TIP는 미국 재무부에서 발행한 만기 3~10년 만기의 중기 물가연동채권에 투자하는 ETF이며, LTPZ는 미국 재무부에서 발행한 만기 15년 이상의 장기 물가연동채권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수익률 순위는 VTIP > TIP > LTPZ 순이며, MDD 순위는 LTPZ > TIP > VTIP 순입니다. 여기서 만기가 짧을수록 수익과 MDD가 작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2022년 1월부터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하여 미국 연준에서 급격한 기준금리인상을 단행하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위에서 비교한 3개의 ETF 중 만기가 제일 짧은 VTIP ETF는 전고점 대비 낙폭인 MDD가 적었던 반면 TIP 그리고 LTPZ는 만기가 VTIP 대비 훨씬 긴 물가연동채권에 투자하기 때문에 MDD가 크고 아직 회복하지도 못했다는 것을 위의 차트에서 알 수 있습니다.

      기준금리와 채권은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채권 금리는 발행 시 기준금리를 기준으로 설정되게 됩니다. 채권 발행 이후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면, 채권의 금리도 같이 올라갑니다. 하지만, 채권은 만기 시 지급받는 금액이 정해져 있는 상품이기 때문에 늘어난 이자율만큼 채권의 현재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반대로, 기준금리가 떨어지게 되면, 채권의 금리가 같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방금 설명한 대로 채권은 만기 시 지급받는 금액이 정해져 있는 상품이기 때문에 채권의 현재 가격이 떨어진 이자율만큼 상승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TIP ETF는 물가 상승에 대응하는 유용한 투자 수단으로, 특히 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시기에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방어 자산으로 기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 상승 환경에서는 채권 가격 하락 위험이 존재하며, 인플레이션이 둔화되면 수익률이 저조해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TIP ETF의 구조와 경제적 맥락을 이해하고, 인플레이션과 금리 변동에 대한 전망을 바탕으로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반적으로 TIP ETF는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인플레이션 방어를 목표로 한 포트폴리오에 적합하지만, 금리와 인플레이션 전망에 따라 성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8. TIP ETF 연도별 배당 수익률 현황

    2012년부터 2024년 10월까지 TIP ETF의 연도별 배당 지급 현황입니다.
    2012년부터 2024년 10월까지 TIP ETF의 연도별 배당 지급 현황입니다.

    연도 배당률 배당금
    2012 $0.05 0.10%
    2013 $0.02 0.05%
    2014 $0.40 0.82%
    2016 $0.37 0.76%
    2017 $0.74 1.52%
    2018 $1.17 2.43%
    2019 $0.96 1.96%
    2020 $0.61 1.20%
    2021 $2.41 4.67%
    2022 $3.19 6.62%
    2023 $1.59 3.36%
    2024 $0.78 1.61%

     

     

     

    9. TIP와 같이 보면 좋은 ETF

    9-1. VTIP - 미국 단기 물가연동채권 ETF

     

    9-2. LTPZ - 미국 장기 물가연동채권 ETF

     

    9-3. BIL - 미국 초단기 국채 ETF

    BIL ETF에 대한 설명 - 미국 초단기 국채 ETF에 대한 모든 것!

     

    BIL ETF에 대한 설명 - 미국 초단기 국채 ETF에 대한 모든 것!

    안녕하세요! 종이의 집입니다. 오늘은 BIL ETF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BIL ETF는 미국 정부에서 발행한 만기가 1개월 ~ 3개월 사이의 초단기 국채들로 구성된 ETF입니다.최근 미국 기준

    paper-castle.tistory.com

     

    9-4. TMF - 미국 장기 국채 3배 레버리지 ETF

    TMF ETF에 대한 설명 및 비교 분석 - 미국 장기 국채 레버리지 투자의 모든 것!

     

    TMF ETF에 대한 설명 및 비교 분석 - 미국 장기 국채 레버리지 투자의 모든 것!

    목차 안녕하세요! 종이의 집입니다. 오늘은 미국 장기 채권(미국 20년물 이상의 국채)의 일일 수익률 3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인 TMF ETF에 대한 설명 및 미국 3대 지수와 TMF ETF와 다른 ETF와 투자

    paper-castle.tistory.com

     

    9-5. TLT - 미국 장기 국채 ETF

    TLT ETF에 대한 설명 - 미국 모든 장기 국채에 투자하기!

     

    TLT ETF에 대한 설명 - 미국 모든 장기 국채에 투자하기!

    목차 안녕하세요! 종이의 집입니다. 오늘은 미국 장기 채권(미국 20년물 이상의 국채)에 투자하는 TLT ETF에 대해서 분석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TLT ETF는 안전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

    paper-castl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