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종이의 집입니다. 오늘은 기업 가치 평가 및 기업 가치 분석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투자자에게 기업 가치 분석이 필요한 궁극적인 이유는 해당 기업의 경영 방식을 통하여 기업의 내재 가치를 평가하여 미래에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인지 판단하기 위해서입니다. 기업 가치 평가를 마친 후, 해당 기업이 미래에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적인 성장을 이루어내는 기업이라면 장기적으로 주식 가치의 탁월한 성장을 이루어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 기업 가치 평가 방법에 주로 사용되는 것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자산 기반 가치 평가 (Asset-Based Valuation)
1-1. 장부가치 (Book Value)
기업의 자산을 총계에서 부채를 뺀 금액으로 계산합니다. 이는 회계장부에 기록된 자산 가치를 의미합니다. 장부가치는 기업의 금융 건강 상태와 안정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 자산(Asset): 물리적으로 측정 가능한 자산인 유형 자산(Tangible Assets)과 물리적 형태가 없는 자산인 무형 자산(Intangible Assets)으로 구분됩니다. 유형 자산의 대표적인 예는 건물, 기계, 차량 등이며 무형 자산의 대표적인 예는 브랜드, 특허, 소프트웨어 등이 있습니다.
- 부채(Liabilities): 기업이 현재 가지고 있는 금전적 의무를 나타냅니다. 대출, 미지급 급여, 세금 부채 등이 해당됩니다.
- 자본(Equity):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으로, 기업의 순자산을 나타냅니다. 이는 주주들에게 남는 남은 가치입니다.
- 회계 기록(Accounting Entries): 자산과 부채는 회계장부에 기록되어 관리되며, 복식부기 체계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모든 거래는 최소한 두 개의 장부에 기록됩니다.
- 회계 원칙과 정책(Accounting Principles and Policies): 장부 가치는 회계 원칙과 정책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자산의 평가 방법, 무형 자산의 처리 방법, 부채 인식 방법 등이 해당됩니다.
- 자산 재평가(Revaluation): 기업은 일정한 주기로 자산을 재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산의 현재 가치에 따라 새로운 가치로 업데이트하여 장부에 기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2. 시가 총액 (Market Capitalization)
기업의 주식 시장 가치를 의미하며, 주가에 발행된 주식 수를 곱하여 계산합니다.
- 계산 방법: 시가 총액 = 주식 가격 * 총 발행 주식 수
- 기업의 시가 총액에 따라 대형, 중형, 소형 기업으로 분류됩니다.
- 시가 총액은 기업의 시장 가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기업의 크기와 중요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시가 총액은 주식 시장에서의 기업 가치를 나타내지만, 기업의 내재적 가치와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명시적으로 보이는 현재 주가에 발행된 주식 수를 곱하여 산출하기 때문입니다.
2. 수익 기반 가치 평가 (Earnings-Based Valuation)
2-1. P/E 비율 (Price-to-Earnings Ratio) = PER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이 비율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주식의 상대적 가치를 비교하는 데 사용합니다. 높은 PER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장래 성장을 높게 평가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PER의 계산: PER = 주가 / 주당이익
- 종류: 시가총액 가중 평균 P/E, 자산가중 평균 P/E, 조정된 P/E 등
- PER에 따른 평가: 높은 PER은 주가가 이익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음을 나타낸다.
- 성장 기업은 보통 높은 PER을 가지며, 안정적인 기업은 일반적으로 낮은 PER을 가집니다.
- PER은 경기나 투자 심리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산업별로 일반적인 PER의 수준이 상이하며, 미래 이익이 불확실할 경우 PER은 왜곡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2-2. DCF 모델 (Discounted Cash Flow)
미래의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는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할인하여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기업의 미래 수익을 고려하여 가치를 산정합니다.
- 미래 현금 흐름: 일반적으로 매년 혹은 매분기로 발생하는 현금 수입이나 지출을 포함하여 미래의 현금흐름을 예측
- 할인 요소: 미래 현금 흐름은 현재 가치로 할인됩니다. 이것은 시간 가치의 개념으로서, 미래의 돈은 현재의 돈보다 가치가 낮다는 원칙입니다.
- DCF 모델 공식
- 할인율(Discount Rate): 할인율은 투자의 위험 수준과 기대 수익률을 반영합니다. 자본 비용이나 기업의 비용 자본을 나타내는 WACC을 할인율로 사용합니다.
- WACC 공식
- WACC = Ke * E/V + Kd * (1-Tc) * D/V
- [Ke: 자기 자본비용, Tc: 한계법인비용, Kd: 타인자본비용, D: 이자부부채의 시장가치, E: 자기 자본의 시장가치, V: D+E]
- DCF 모델은 예상 현금흐름을 정확히 예측하지 않으면 값이 크게 왜곡되므로 기업의 재무 상태, 산업 동향,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즉, 불확실성이 높습니다.
- 할인율의 선택이 주관적이기 때문에 가치 평가가 기업의 실제 가치 대비 크게 다를 위험이 있습니다.
3. 시장 비교 분석 (Market Comparable Analysis)
다른 비슷한 기업들과의 비교를 통해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주가, P/E 비율, 매출 등과 같은 지표를 비교하여 유사 기업의 가치를 참고합니다.
3-1 시장 비교 분석의 목적
- 성과 평가: 기업이나 투자 대상의 성과를 이해하고 비교함으로써 강점과 약점을 파악합니다.
- 가치 평가: 비슷한 산업이나 시장에서 활동하는 기업들과의 비교를 통해 기업이나 투자 대상의 가치를 측정합니다.
- 전략 수립: 경쟁사와의 비교를 통해 기업은 경쟁 환경에서 자신의 전략을 조정하고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3-2 비교 대상 선정 방법
- 산업/시장 분류: 유사한 산업이나 시장 내에서 활동하는 기업을 선택합니다.
- 크기 및 규모: 기업의 규모, 매출, 자산 등과 같은 크기를 기준으로 비슷한 기업들을 선택합니다.
- 지역 및 시장 조건: 특정 지역이나 시장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비교합니다.
3-3. 분석 지표
- 재무제표: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자본 구조, 현금 흐름 등의 재무제표를 비교합니다.
- 시장 성과 지표: PER(주가 수익비율), PSR(주가매출비율) 등을 통해 기업의 시장 가치를 평가합니다.
- 운영 성과 지표: 매출 증가율, 순이익 마진, 자본 회수기간 등을 통해 운영 성과를 비교합니다.
- ※ 이때 순이익 마진은 세후 순이익을 의미하며, 자본 회수기간은 투자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3-4. SWOT 분석
- SWOT 분석이란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의 약자로서 자신의 회사와 경쟁사의 성과를 객관적인 방식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전략입니다. 투자 전에도 해당 분석을 할 경우 자신이 투자하는 기업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3-5 경쟁 전략 파악
- 경쟁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분석 후 자사 제품과의 차이점과 경쟁 우위를 파악합니다.
- 경쟁사들의 마케팅 전략, 브랜딩 전략을 비교하여 경쟁 환경을 이해합니다.
4. 전략적 가치 평가 (Strategic Valuation)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경쟁우위, 시장 위치 등을 고려하여 가치를 평가합니다. 이는 기업의 장래 성장 전망과 경쟁 우위성을 고려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4-1. 전략적 가치 평가의 목적
- 경영 의사 결정: 기업의 경영진은 전략적 가치 평가를 통해 투자, 성과 평가, 리스크 관리 등의 의사 결정을 지원합니다.
- 가치 창출과 측정: 전략적 가치 평가를 통해 현재와 미래에 얼마나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측정합니다.
- 투자자와의 소통: 투자자에게 기업의 가치 창출과 전략적 방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자와의 소통을 강화합니다.
- 전략 개선: 전략적 가치 평가를 통해 얻은 통찰을 기반으로 기업은 전략을 개선하고 경쟁 우위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4-2. 전략적 가치 평가 방법
- 재무 지표: 수익성, 자산 활용률, 부채 구조 등의 재무 지표를 기반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합니다.(Ex. DCF모델, EPS 모델) DCF 모델은 수익 기반 가치 평가에서 설명드렸으므로 EPS(Earnings Per Share) 성장 모델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EPS 성장 모델은 주당 순이익의 예상 성장을 바탕으로 기업의 가치를 측정합니다.
- "EPS = 순이익/총 발행주식수"이며 연단 위로 계산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EPS 성장 모델입니다.
- 비재무 지표: 브랜드 가치(시장 점유율 및 인지도), 고객 충성도(고객 만족도 조사 및 고객 생애 가치(LTV)를 계산하여 평가), 혁신 능력 등과 같은 비재무 지표를 고려하여 가치를 평가합니다.
- 산업 및 시장분석: 기업이 활동하는 시장과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장 기회 및 경쟁 환경을 평가합니다. 대표적으로 Porter의 경쟁 전략 모델을 통한 분석과 SWOT 분석이 있습니다. SWOT 분석은 3. 시장분석 비교 항목에서 설명하였으므로 Porter의 경쟁 전략 모델을 설명드리겠습니다.
- 포터의 경쟁우위 전략 3가지
- ① 원가 우위 전략(Cost Leadership): 경쟁사보다 저렴한 원가로 경쟁하는 것입니다.(박리다매)
- ② 차별화 전략(Differentiatioin): 가격이 아닌 디자인, 브랜드 충성도 또는 성능으로 경쟁하는 것입니다.
- ③ 집중화 전략: 좁은 영역의 틈새시장에서 원가 우위 또는 차별화 우위로 경쟁하는 것입니다.
- 가치 사슬 분석: 기업의 내부 환경(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 창출 단계)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분석 목적은 기업 내부의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는 데 있습니다. 이는 차별화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발판이 됩니다.
- 가치 사슬 분석 시 고려할 점 3가지
- ① 부문별 활동이 자사가 창출하는 가치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가?
- ② 특정 활동에서 자사의 강점과 약점이 있는가?
- ③ 자사의 강점이 미래의 경쟁우위를 지속시켜 줄 수 있는가?
4-3. 미래 가치 창출
미래 가치 창출은 기업이나 조직이 현재의 전략과 행동을 통해 미래에 어떻게 지속적으로 가치를 창출할 것인지를 의미합니다. 혁신과 경쟁 우위확보 및 장기적 성장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업이 미래를 대비하여 현재 어떤 활동들을 진행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사안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혁신과 기술 도입
① 제품 및 서비스 혁신: 신제품개발이나 신규 서비스의 도입을 통해 시장에서의 차별화를 실현하고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가?
② 기술 도입과 디지털 전환: 최신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업무 효율성을 향상하는가? - 고객 중심 전략
① 고객 인식 개선: 고객들의 요구 및 기대 사항을 파악 후,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브랜드 가치를 증가하는가?
② 마케팅 혁신: 신규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여 효과적으로 고객들에게 다가가고 브랜드 가치를 증가하는가? - 지속 가능성 및 사회적 가치 창출
① 환경적 지속 가능성: 친환경 제품을 도입하여 기업의 환경적 책임을 실현하고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는가?
② 사회적 가치 창출: 사회적 문제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수행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의 발전에 도움을 주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가? - 글로벌 시장 개척
① 글로벌 확장과 다국적 협력: 글로벌 시장 진출과 협력을 통해 새로운 시장에서의 기회를 확보하고 사업을 확장하는가?
② 신규 시장 개척: 새로운 산업 부문으로 진출하여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가? - 협업과 파트너십
① 산업 간 협업: 다양한 산업 간의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가?
② 스타트업 협력: 스타트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혁신과 새로운 기술 도입을 하는가? - 인재 관리 및 조직 문화
① 인재 유치와 개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개발하여 조직의 역량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능력을 키우는가?
② 조직 문화의 혁신: 기업 문화를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을 수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개선하여 직원들의 창의성을 촉진하려고 하는가?
4-4. 환경적 요소 고려
환경적 요소는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운영, 경쟁력, 재무 상태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투자자들은 환경적 요소를 평가하여 투자의 지속 가능성과 위험을 평가하고자 합니다. 아래는 환경적 요소를 자세히 설명한 것입니다.
- ESG (환경, 사회, 지배구조) 요소
- ① 환경 (Environmental): 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합니다. 탄소 배출, 자원 소비, 재활용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 ② 사회 (Social):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정도를 평가합니다. 노동 조건, 고용 창출, 지역사회 기여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 ③ 지배구조 (Governance): 기업의 경영체제 및 조직 내부 구조를 평가합니다. 회계 투명성, 이사회 역할, 주주 권리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 2. 기술 혁신과 디지털 전환
- ① 기술 혁신 (Technological Innovation): 기업의 기술적인 변화와 혁신이 얼마나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새로운 기술의 도입이나 디지털화 전략이 여기에 속합니다.
- ② 디지털 전환 (Digital Transformation): 기업이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정도를 평가합니다.
- 3. 법적 및 규제 환경
- ① 규제 변화 (Regulatory Changes): 산업이나 국가별 규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새로운 법적 요구사항이나 규제 정책이 여기에 속합니다.
- ② 특허 및 라이선스 (Patents and Licenses): 기업이 보유한 특허와 라이선스가 얼마나 강력한지를 평가합니다.
- 4. 사회 및 문화적 영향
- ① 소비자 행태 (Consumer Behavior): 소비자들의 선호도, 유행 등이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합니다.
- ② 문화적 영향 (Cultural Impact): 특정 문화적인 요인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합니다.
- 5. 경제적 요인
- ① 금리 변동성 (Interest Rate Volatility): 중앙은행의 정책 변화로 인한 금리의 변동성이 기업의 금융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합니다.
- ② 경제 사이클 (Economic Cycle): 현재의 경제 사이클 및 예상 경기 전망을 고려하여 기업의 성장 전망을 예측합니다.
- 6. 환경 변화 및 지속 가능성
- ① 기후 변화 (Climate Change): 기업이 기후 변화에 얼마나 적응하고 대응하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 ② 지속 가능성 (Sustainability): 기업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과 환경적으로 책임 있는 비즈니스 운영을 채택하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 7. 경쟁환경 및 산업 분석
- ① 산업 경쟁 구도 (Industry Competitive Landscape): 경쟁사들과의 경쟁 상황을 평가합니다.
- ② 새로운 진입자와 경쟁자 (New Entrants and Competitors): 시장에 새로운 기업이나 경쟁사가 얼마나 진입하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5. 재무제표 분석
기업의 재무 상태를 분석하여 가치를 판단합니다.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 재무 지표가 있으며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과를 평가하여 경제적인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무제표의 용어와 산출 방법은 하기 링크에 들어가시면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paper-castle.tistory.com/27
기업의 재무제표 분석 방법에 대하여 -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
목차 안녕하세요! 종이의 집입니다. 오늘을 기업의 재무제표 분석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재무제표 분석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과를 평가하고 이해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재
paper-castle.tistory.com
6. 기업 평판과 브랜드 가치
기업 평판과 브랜드 가치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장기적 성공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지표입니다. 긍정적인 평판과 강력한 브랜드는 투자자들에게 기업이 지속 가능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습니다.
6-1. 기업 평판 (Corporate Reputation)
- 기업 평판은 기업이 고객, 투자자, 사회, 직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가지는 이미지와 평가를 나타냅니다. 이는 기업의 행동, 윤리적 표준, 제품 및 서비스 품질 등에 기인합니다.
- 기업 평판 요소
- ① 윤리성과 투명성: 기업의 윤리적 행동과 투명한 경영은 평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② 사회적 책임: 기업이 환경, 사회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있는 정도도 평판에 영향을 미칩니다.
- ③ 고객 서비스: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과 고객 서비스는 기업 평판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 ④ 혁신과 리더십: 기업이 혁신적이고 업계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 이는 평판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 기업 평판과 투자의 관계
- ① 투자자 신뢰 향상: 투자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긍정적인 평판은 투자자들에게 기업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습니다.
- ② 주가 영향: 긍정적인 기업 평판은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안정성과 성공적인 경영을 가진 기업을 선호합니다.
6-2. 브랜드 가치 (Brand Value)
- 브랜드 가치는 기업의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가진 긍정적인 가치를 나타냅니다. 이는 브랜드로 인해 소비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때 느끼는 신뢰와 선호도를 의미합니다.
- 브랜드 가치의 요소
- ① 인식과 신뢰: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인식하고 그에 대해 신뢰하는 정도가 브랜드 가치에 영향을 미칩니다.
- ② 마케팅 및 광고: 효과적인 마케팅과 광고는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 ③ 제품 품질: 브랜드의 제품이나 서비스 품질은 브랜드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④ 고객 경험: 소비자들의 브랜드와의 경험은 브랜드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브랜드 가치의 영향
- ① 가격 탄력성: 강력한 브랜드는 가격을 상승시키기에 더 유리할 수 있으며, 이는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② 시장 점유율: 소비자들이 특정 브랜드를 선호할 경우, 기업은 시장에서 더 큰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업 가치 평가와 기업 가치 분석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기업을 평가할 수 있으며, 기업의 재무제표 등의 데이터를 가지고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도 있고 경영진의 운영방식에 따른 정성적 분석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드렸습니다. 여기서 정량적 분석은 데이터 수집에 의존하며, 정성적 분석은 비통계적이며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설계된 방법으로 주로 해당 그룹 경영진의 인터뷰와 같은 직접적인 관찰로 이루어집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인 방식으로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작성한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의 재무제표 분석 방법에 대하여 -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 (0) | 2024.01.24 |
---|---|
주식에 투자 하는 이유와 주식 투자 전략 수립 방법에 대하여 (0) | 2024.01.21 |
주식 투자 기초 지식과 주식 필수 용어 모음집 (0) | 2024.01.20 |
주식 투자 전략과 주식 매매기법에 관하여(장기투자, 가치투자 등) (0) | 2024.01.17 |